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텃밭가꾸는방법86

김장배추 수확시기 보관하는 방법 중부지방 남부지방 김장배추 수확시기,김장배추 보관하는 방법 김장배추 수확시기 김장배추 수확시기는 중부지방은 11월 상순부터 하순이며, 남부지방은 11월 하순부터 12월 상순까지다. 무는 중부지방은 10월 하순부터 10월 상·중순, 남부지방은 11월 하순이 적기다. 김장배추 수확시기는 품종과 재배 지역에 따라 시기가 다르지만, 보통 정식을 한 후 약 60~70일 정도 지난 후 수확을 할 수 있다. 김장배추 수확시기는 보통 11월 중순경이 전국적으로 배추를 수확하는 적정시기라고 할 수 있다. 김장배추 수확시기는 11월 하순까지이다. 수확이 늦어지면 동해를 입을 가능성이 그만큼 커진다. 김장배추,무가 동해를 입는 온도는 무 0℃, 배추 영하 6℃ 정도로 기상예보에 따라 비닐이나 짚을 덮어주거나 배추 포기를 묶.. 2023. 11. 10.
고구마 수확시기 보관하는법 남부지방 중부지방 고구마 수확시기,고구마 보관하는법 고구마 수확시기 고구마는 수확 시기나 수확 방법에 따라 고구마의 질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고구마 수확시기가 굉장히 중요하다. 고구마 수확적정시기는 대체로 재식후 약 110~120일 정도이다. 중부지방 고구마는 수확시기는 10월 상~중순까지 남부지방 고구마는 수확시기는 10월 하순까지가 된다. 보통 고구마를 재배할 때 덩이뿌리가 커지는 시점이 수확시기라고 볼 수가 있는데 7월 하순부터는 뿌리가 급격히 커지게 된다. 하지만 고구마 수확시기는 품질 뿐만 아니라 수량도 중요하다. 너무 늦으면 서리의 피해를 입어 저장성이 낮아지므로 기온이 9℃ 이하로 낮아지기 전에 수확하여 저장한다. 비가 온 후에 바로 수확을 하거나 토양이 습한 상태일 때 수확한 고구마는 .. 2023. 9. 13.
​땅콩 수확시기 보관방법 중부지방 땅콩 적정수확시기 방법,땅콩 보관방법 ​땅콩 수확시기 대체로 땅콩 수확시기는 9월 하순에서 10월 초순이다. 땅콩은 일반적으로 파종 후 120~ 150여 일이면 수확한다고 하는데 재배지역의 기후조건이나 토양 등에 따라 재배기간만으로 판단하기에는 정확성이 떨어져 수확시기가 되면 실제 몇 뿌리 뽑아 겉껍질의 그물 무늬 형성정도(약 60~80%정도), 껍질과 속 알맹이의 분리 정도 등을 보고 판단한다고 하며, 수확시기를 놓치면 줄기만 뽑히고 꼬투리는 땅속에 그대로 있게 된다고 한다. 땅콩 수확적정시기의 판단은 몇 포기를 캐어 꼬투리 성숙도를 보고 결정하는데 성숙한 것은 꼬투리 표면에 망상의 그물무늬가 형성된다.(조숙종 9월 중순, 만숙종 9월 하순~10월 초순) 중부지방 땅콩 수확시기는 언제 파종하고.. 2023. 9. 11.
김장배추 모종 심는시기 재배방법 남부지방 중부지방 김장배추 모종 심는시기,가을 김장배추 재배방법 김장배추 재배방법 배추만큼 친숙한 채소도 없다. 배추는 봄, 가을에 걸쳐 파종할 수 있다. 아무런 시설 없이 재배하려면 가을 재배가 무난하다. 그래서 텃밭에서 키우는 배추는 가을 재배를 의미한다. 배추는 '봄배추' '얼갈이배추' '가을배추(김장배추)' 이렇게 크게 나뉜다. 봄배추는 4월경 파종해서 6~7월에 수확하는 배추이고, 가을 김장배추 심는시기는 7월~9월경 심어서 8월부터 11월까지 수확한다. 봄 재배는 모종을 키우기도 어렵고 한창 자랄 때 장마철의 무더위에 무름병에 걸려 거의 못쓴다. 서늘한 기후가 지속되는 기간이 비교적 긴 가을이 배추 재배시기의 적기다. 배추는 추위를 잘 견디는 작물이다. 그래서 김장배추는 더울 때 파종을 시작하.. 2023. 8. 18.
김장무 파종시기,김장무 재배방법 김장무 파종시기/심는시기,가을 김장무 재배방법 김장무 재배방법 무는 배추와 함께 우리의 주된 김장재료로 깍두기, 무말랭이, 단무지 등 한국인들의 식생활에 오랫동안 다양하게 이용되어 온 채소입니다. 무는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뿌리의 디아스타제는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김장무 파종시기는 김장배추와 재배시기를 같이 가져가면 수월합니다. 즉, 가을에 파종하여 김장철에 수확하는 재배가 무난합니다. 그래서 보통의 텃밭에서 무를 재배한다고 하면 가을재배를 의미합니다. 무는 서늘한 기후가 오래 지속되는 지역이 고향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재배합니다. 김장 배추와 김장무는 파종시기를 너무 빨리하면 바이러스병과 뿌리마름병이 발생할 수 있고 늦더위에 생리장애가 나타날 수 있어 지역에 따라 적기에 파종하는 게 중요하다.. 2023. 8. 17.
알타리무 심는(파종)시기 재배법 가을 알타리무 파종시기/심는시기,알타리무 재배법 알타리무 재배법 알타리무는 가을무와는 달리 잎도 뿌리와 함께 총각김치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잎에는 비타민C의 함량이 많으므로 비타민 채소로서도 이용가차가 높을뿐만아니라 생육기간이 짧아 농약공해가 적다. 원래 알타리무의 유래에 대해서는 많은 이야기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뿌리 끝에 "알이 달린다"고 하여 "알달이"로 발음되다가 알타리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아뭏튼 알타리는 원래 서울봄무나 느루베기중에서 조기에 뿌리끝이 잘 굵어지는 형을 선발하여 알타리가 된듯하다. 알타리무는 기침, 가래, 인후통에 좋으며 이뇨작용을 촉진하고 니코틴의 해독과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알타리무는 9월에 파종하며 파종 후 60일 후에 수확한다. 단단하고 매운 맛의 .. 2023. 7. 26.
참깨 병충해 방제시기(사진) 참깨 병충해 방제시기,참깨 병충해 사진 참깨 병충해 방제(시기,사진) 참깨에는 발아초기부터 수확 직전까지 잘록병(입고병), 반점병, 돌림병(역병), 시들음병(위조병), 잎마름병(엽고병), 세균성 반점병, 풋마름병(청고병), 흰가루병, 바이러스병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종류의 병들이 있다. 이중에서 특히 수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병해로는 생육초기에 발병하는 입고병과 고온다습할 때 발생하는 돌림병, 시들음병 및 생육후기에 발생하는 잎마름병이 있는데 이 병들을 참깨의 4대 병해라고 한다. 현재 이 4대 병해를 방제하는데 방제가가 높은 효과적인 약제가 연구기관의 노력에 의해 선발, 품목고시까지 되어 있고 예방을 기본으로 하는 종합 방제체계가 확립되어 있으므로 철저한 방제를 한다면 참깨 병해도 충분히 방제가 .. 2023. 7. 22.
당근 파종시기 재배방법 중부지방 가을당근 파종시기,남부지방 당근 심는시기/재배방법 당근 재배방법 재배환경 당근 종자 발아 적온은 15∼25℃이며 35℃ 이상에서는 발아하지 않는다. 지상부 생육적온은 18∼21℃이고 28℃ 이상에서는 생육하지 않는다. 지상부 생육은 지상부의 적온보다 다소 낮은 온도에서 생육이 잘되고 근중 증가의 적온은 20℃이며 이 온도보다 높으면 뿌리가 굵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뿌리의 형태가 흐트러지고 표피가 거칠게 된다. 카로틴의 생성은 16∼21℃에서 가장 잘 발현하는데 생육적온 보다 낮은 12℃이하의 저온에서는 착색이 저해된다. 7℃이하에서 생육한 다음 그 후 온도가 높아지면 착색이 되지 않는다. 뿌리의 착색은 발아 후 70∼100일경에 피크이며 그 후는 일정의 함유율이 된다. 저온기에서는 착생이 불량하.. 2023. 7. 18.
참깨 들깨 파종시기 모종 심는시기와 방법 남부지방 중부지방 참깨 들깨 파종시기,모종 심는시기와 방법 들깨 파종시기 모종 심는시기와 방법 들깨는 봄에 심는 것과 가을에 심는 것이 있는데, 봄에 심는 것은 열매를 먹는 것이고 가을에 심는 것은 잎을 먹기 위한 것이다. 가을에 심으면 곧 서리가 내리기에 열매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들깨를 심을 밭은, 길가나 밭두둑에 심어 짜투리 땅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본 밭에 심을 때에는 콩과 함께 심거나 둘레에 심으면 좋다. 콩은 자체적으로 비료를 만들기 때문에 따로 거름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아니면 밀과 보리를 심었던 이랑 사이에 심어도 좋다. 또한 고추밭에 듬성듬성 심으면 들깨 향으로 고추에 생기는 해충을 예방할 수도 있다. 한편 들깨는 작년에 심은 마늘을 수확한 후 그 밭에 심으.. 2023.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