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텃밭가꾸는방법

가을당근 파종시기 수확시기

by 초이통 2025. 8. 11.
반응형

가을당근 파종시기, 올해는 놓치지 마세요! (A to Z 완벽 가이드)

가을당근 파종시기


가을당근 파종시기를 제대로 알아야 굵고 단단한 당근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씨앗 선택부터 밭 준비, 파종 방법, 그리고 가장 기다려지는 가을당근 수확시기까지, 초보 텃밭지기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모든 비법을 알려드립니다. 🥕

여름의 끝자락,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면 텃밭 지기들의 마음도 바빠집니다. 바로 맛과 영양이 으뜸인 가을 당근을 심을 준비를 해야 하기 때문이죠. 봄 당근보다 병충해에 강하고 저장성도 좋아 많은 분이 선호하지만, 자칫 시기를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당근 농사의 첫걸음은 정확한 가을당근 파종시기를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지금부터 저와 함께 달콤하고 아삭한 당근을 직접 키워보는 여정을 떠나볼까요? 😊

 

📌 어떤 당근 품종을 심어야 할까?

가을 재배에는 여름철 고온기를 잘 견뎌내는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내에서 재배하기 좋은 몇 가지 대표적인 품종을 소개해 드릴게요.

신흑전 5촌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품종 중 하나로, 우리나라 기후에 잘 적응합니다. 뿌리 색이 선명하고 모양이 예쁘며, 재배가 비교적 쉬워 초보자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파종 후 약 100~120일이면 수확할 수 있습니다.

베타리치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은 기능성 품종입니다. 맛이 달고 심지 부분이 작아 생식용이나 주스용으로 아주 좋습니다. 더위에도 강한 편이라 가을 재배에 적합합니다.

탐라홍
제주 지역에서 외국 품종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국내 품종입니다. 당도가 높고 색이 진하며 맛과 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우리나라 환경에 맞춰 개발된 만큼 안정적인 재배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김장배추 심는시기(남부,중부지방)

📊 지역별 최적의 가을당근 파종시기

가을당근 파종시기


당근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작물이라 너무 일찍 심으면 더위로 인해 발아율이 떨어지고, 너무 늦게 심으면 겨울이 오기 전에 뿌리가 충분히 자라지 못합니다. 따라서 사는 지역의 기후에 맞춰 가을당근 파종시기를 조절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지역 구분 가을당근 파종시기 참고 사항
중부지방 (서울, 경기, 강원 등) 7월 중순 ~ 8월 초순 늦어도 8월 상순까지는 파종을 마쳐야 서리 전 충분한 생육 기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남부지방 (전라, 경상 등) 7월 하순 ~ 8월 중순 비교적 날씨가 따뜻하여 중부지방보다 조금 늦게 심어도 괜찮습니다.
제주 및 난지 섬 지역 8월 초순 ~ 8월 하순 겨울이 따뜻해 월동재배가 가능하며, 늦게 파종해도 좋습니다.

✅ 실패 없는 밭 만들기 & 파종 방법

1. 밭 만들기 (가장 중요!)
당근은 뿌리채소이므로 토양 상태가 품질을 좌우합니다. 파종 2~3주 전에 밭을 깊게(최소 30cm 이상) 갈아주어 흙을 부드럽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돌이나 단단한 흙덩이가 있으면 당근 뿌리가 갈라지거나 짧아지는 원인이 되므로 꼼꼼하게 골라내야 합니다. 밑거름으로 완숙 퇴비와 복합비료를 넣고 흙과 잘 섞어주세요. 

 

산성 토양이라면 석회 고토를 뿌려 중화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두둑은 배수가 잘 되도록 20cm 이상 높게 만들어 줍니다.

 


2. 씨앗 파종하기
당근 씨앗은 매우 작고 광발아성(빛을 봐야 싹이 잘 트는 성질)이 있어 너무 깊게 심지 않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1~2cm 간격으로 씨앗을 줄뿌림하고, 흙은 0.5cm 정도로 얇게 덮어주세요.

 

씨앗이 날아가거나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흙을 덮은 뒤 가볍게 눌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파종 후에는 물을 흠뻑 주어 토양에 수분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합니다. 싹이 틀 때까지 흙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초기 생육에 매우 중요합니다.

 

김장무 파종시기,김장무 재배방법

🥕 쑥쑥! 건강한 당근 재배 관리법

가을당근 파종시기


솎아주기 (가장 귀찮지만 필수!)
올바른 가을당근 파종시기에 심었다면, 솎아주기는 풍성한 수확을 위한 필수 과정입니다. 솎아주기를 하지 않으면 당근들이 서로 경쟁하느라 제대로 크지 못하고 가느다란 뿌리만 남게 됩니다. 보통 2~3회에 걸쳐 진행합니다.


- 1차: 본잎이 2~3장 나왔을 때 3~4cm 간격으로 솎아줍니다.
- 2차: 본잎이 5~6장 나왔을 때 최종적으로 10~12cm 간격이 되도록 튼실한 싹 하나만 남기고 모두 솎아줍니다. 

 

솎아준 후에는 남은 당근이 흔들리지 않도록 주변 흙을 잘 북돋아 주세요. 이때가 되면 슬슬 다가올 가을당근 수확시기가 기다려지기 시작합니다.

물주기 및 웃거름
초기 발아 시기를 제외하고는 흙 표면이 말랐을 때 한 번에 흠뻑 주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자주 물을 주면 잔뿌리가 많아지고 당근이 갈라질 수 있습니다. 2차 솎음 작업을 마친 후, 웃거름으로 복합비료를 뿌려주면 뿌리가 굵어지는 데 도움이 됩니다.

 

 웃거름을 준 후에는 비료가 잘 녹아 흡수되도록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당근 윗부분이 흙 위로 드러나 햇빛을 받으면 녹색으로 변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흙으로 가볍게 덮어주는 북주기를 해주면 좋습니다.

 

💡 드디어! 가을당근 수확시기 및 방법

 

가장 설레는 순간, 바로 가을당근 수확시기입니다. 품종과 가을당근 파종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파종 후 100일에서 120일 사이에 수확합니다. 

 

중부지방은 10월 중순~11월 하순, 남부지방은 10월 하순~12월 초순이 일반적인 가을당근 수확시기입니다. 너무 늦게 수확하면 뿌리가 갈라져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으니 적기를 놓치지 마세요. 흙

 

 위로 살짝 보이는 당근 어깨 부분의 지름이 4~5cm 정도 되었을 때가 수확 적기입니다. 맑은 날 흙이 너무 마르지 않았을 때, 당근 잎줄기를 잡고 조심스럽게 뽑아 올리면 됩니다. 흙이 단단하다면 호미로 주변 흙을 파낸 후 수확하세요.

 

알타리무 심는(파종)시기 재배법

자주 묻는 질문 (FAQ)

가을당근 파종시기


Q1. 당근이 짧고 뭉툭하게 자라요. 왜 그런가요?
A: 가장 큰 원인은 토양입니다. 밭을 만들 때 흙을 충분히 깊게 갈지 않았거나, 흙 속에 돌이나 덩어리가 많으면 뿌리가 아래로 뻗지 못하고 짧고 뭉툭해집니다. 미숙성 퇴비를 사용해도 가스 장애로 인해 뿌리가 기형이 될 수 있습니다.

Q2. 솎아주기, 꼭 해야만 하나요?
A: 네, 반드시 해야 합니다. 솎아주기는 튼실한 당근을 수확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정입니다. 간격이 좁으면 양분과 공간 경쟁으로 인해 당근이 연필처럼 가늘게 자라게 됩니다. 귀찮더라도 꼭 필요한 작업입니다.

Q3. 당근 어깨 부분이 녹색으로 변했어요. 먹어도 되나요?
A: 네, 먹어도 괜찮습니다. 흙 위로 노출된 부분이 햇빛을 받아 엽록소가 생겨 녹색으로 변한 것으로, 인체에 해롭지는 않습니다. 다만 쓴맛이 날 수 있으니 그 부분은 도려내고 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를 예방하려면 자라면서 흙을 덮어주는 북주기를 해주면 됩니다.

 


지금까지 가을당근 파종시기부터 가을당근 수확시기까지 전 과정을 꼼꼼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정확한 시기에 맞춰 정성껏 돌본다면, 올가을에는 분명 여러분의 텃밭에서 달고 맛있는 당근을 한가득 수확하는 기쁨을 누리실 수 있을 겁니다. 직접 키운 당근의 맛은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죠. 도전해 보세요!

 

가을 김장쪽파 심는시기,파종시기

 

가을 김장쪽파 심는시기,파종시기

가을쪽파 심는시기, 김장 맛을 좌우하는 파종의 모든 것김장철 필수 재료! 가장 좋은 가을쪽파 심는시기는 8월 말부터 9월 초입니다. 김치의 맛을 좌우할 김장쪽파 심는시기에 맞춰 튼튼한 종구

info.nongsaro.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