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51 아욱 파종(심는)시기 재배방법 아욱 파종시기/심는시기,아욱 재배방법 아욱 재배방법 품종특성 아욱의 키는 60~90cm에 달하는 2년생의 초본으로 포기전체에 털이 있는 것이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다섯열편이 있고 기각은 뾰족하다. 꽃은 짧은 화경에 착생하는데 작고 백색 또는 담홍색인데 꽃잎은 5개이고 취산화서로 되며 엽액에 균생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져 있고 거친 털이 있디. 봄부터 가을까지 피지만 최성기는 6~7월이다. 품종에는 잎이 넓은 것과 좁은 품종이 있는데 거의가 정리되어 있지 않아 아직 재래종으로 불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아욱은 노지에서도 부지런하면 한겨울 빼고는 봄여름가을 세 번 가꿀 수 있다. 추위와 더위에 강해 하우스에는 3월 상순에 일찍 뿌릴 수 있고, 한여름은 물론 노지에서도 늦가을까.. 2022. 2. 27. 차가버섯 효능 끓이는법,차가버섯 분말 먹는 방법 차가버섯 효능과 부작용,차가버섯 끓이는법/분말 먹는 방법 차가버섯 효능과 부작용 차가버섯은 시베리아와 북아메리카, 북유럽 등 북위 45도 이상 지방의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버섯입니다. 살아있는 자작나무의 영양분을 먹고 크는 차가버섯은 추운 러시아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인제 등지에서 차가버섯을 채취할 수 있습니다. 차가는 표면이 매우 거칠고 검으며 갈라진 곳이 많고 속은 황색이며 단단하고 옅은 노랑색 줄이 나 있다. 대개 지름이 10-20센티미터쯤이고 큰 것은 직경이 50센티미터나 되는 것도 있습니다. 흔히 차가를 버섯이라고 하는데 버섯으로 보기 어렵고 나무에 생기는 일종의 암이라고 해야 맞는 말입니다. 차가버섯에 들어있는 멜라닌, 베타글루칸, 폴리페놀 등은 면역력을 높여주고, 암 등 성.. 2022. 2. 27. 호두기름 효능 먹는방법 호두기름 효능과 부작용,호두기름 먹는방법/만드는 법 호두기름의 효능 타임지가 선정한 10대 슈퍼푸드 중 하나인 호두는 심장질환 예방, 항노화, 폐 기능 강화 등의 효능도 지닙니다. 호두에 들어 있는 미네랄 원소는 우리 몸속에 들어와 신장의 기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해 몸의 전체적인 균형을 잡아줍니다. 호두는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데에도 좋습니다. 매일 아침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호두나 호두기름을 섭취하면 성인병을 유발하는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춰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에 좋은 호두기름은 샐러드, 찌개, 구이, 찜, 볶음, 튀김, 면 등 모든 종류의 음식에 첨가해 호두가 지닌 여러 영양소를 더욱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견과류를 싫어하는 아이들이나 치아상태가 좋지 못한 노인.. 2022. 2. 26. 호두나무 묘목 심는 시기 재배방법 호두나무 묘목 심는 시기,호두나무 재배방법/병충해 방제법 호두나무 재배방법 재배적지 - 우리나라의 호두나무는 연평균 12℃ 등온선을 중심으로 난대 중부에서 온대 중부에 걸쳐 생육 및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주산지는 예산, 영동, 무주, 김천, 예천, 거창 등이다. - 낙엽활엽수로 자웅동주이며 4~5월에 개화하고 9~10월에 열매가 성숙한다. - 조림적지는 해발 400m 이하, 경사 15도 미만으로서 토심이 깊고(1.5~2m 이상) 비옥한 지역으로 경기, 강원, 충북 등 내륙 지방이 높은 곳은 월동 중 한해 피해 때문에 입지선정에 유의해야 한다. - 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통기성이 좋은 사질양토 및 양도가 좋으며 여름철에는 서늘하고 겨울에는 온화한 산간지방으로 비가 적은 곳과 북서풍의 맞바람이 불지 않고 .. 2022. 2. 26. 상황버섯 효능 복용법,상황버섯 끓이는 방법 자연산 상황버섯 효능과 종류,상황버섯 끓이는 방법/복용법 자연산 상황버섯 효능 복용법 목질진흙버섯이라고도 하며, 동의보감에서는 상목이(桑木耳)라는 이름으로 탕액편에 기록되어 있다. 갓은 지름 6∼12cm, 두께 2∼10cm로, 반원 모양, 편평한 모양, 둥근 산 모양, 말굽 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을 하고 있다. 표면에는 어두운 갈색의 털이 짧고 촘촘하게 나 있다가 자라면서 없어지고 각피화한다. 검은빛을 띤 갈색의 고리 홈이 나 있으며 가로와 세로로 등이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선명한 노란색이고 아랫면은 황갈색이며 살도 황갈색이다. 자루가 없고 포자는 연한 황갈색으로 공 모양이다. 다년생으로 뽕나무 등에 겹쳐서 나는 목재부후균이다. 초기에는 진흙 덩어리가 뭉쳐진 것처럼 보이다가 다 자란 후에는 나무 그루터.. 2022. 2. 26. 대추나무 가지치기(전지)방법과 시기 대추나무 가지치기(전지)방법과 시기,대추나무 순자르기(순치기) 대추나무 가지치기(전지)방법과 시기 대추나무의 생장 특성 생장 및 결과 습성 대추나무의 생장습성은 여러 면에서 다른 과수와 차이가 있다. 즉 대추나무 줄기가 생장할 때에는 원줄기와 함께 항상 덧가지(1년생 2차지)가 동시에 발생되며 원줄기 상에서 덧가지가 분기되는 부위 바로 하단에 주아가 위치하고 있지만 덧가지에서는 정부우세성에 의하여 발아하지 못하므로 신초의 발생수가 매우 적어서 이상적인 수형을 구성하기가 어렵다. 대추나무의 원줄기 상에 신초를 발생시키려면 주아의 바로 위에 위치한 덧가지를 제거한 후 눈의 1cm 위쪽에 폭1mm, 길이 1cm의 크기로 상처를 내주면 눈이 쉽게 발아되어 튼튼한 가지가 나온다. 대추나무는 당년에 발생한 새가지의.. 2022.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