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특약용작물재배법13

눈개승마 재배법 모종 심는 시기 눈개승마 씨앗 파종시기/모종 심는 시기 방법,눈개승마 재배법 눈개승마 재배법 눈개승마는 전국 각처의 고산지역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낙엽이 많으며 반그늘 혹은 음지에서 자생한다. 키는 30~100㎝이고, 잎은 길이가 3~10㎝, 폭이 1~6㎝로 광택이 나는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2~3회 정도 깃털과 같은 모양으로 갈라지는 깃꼴겹 잎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파고드는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으로, 길이는 10~30㎝ 이며 부채꽃 모양으로 펼쳐지고 아래에서부터 피어서 위로 올라 간다. 열매는 7~8월에 익고 갈색으로 타원형이며 길이가 약 0.3㎝가량 인데, 익을 때는 광채가 있다. 관상용으로도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으로 쓰인다. 눈개승마는 어릴 때 잎이 인삼잎을 닮았다 하여.. 2023. 3. 16.
땅두릅 모종 심는시기 재배법 땅두릅 모종 심는시기,씨앗 파종시기,땅두릅 재배법 땅두릅 재배법 땅두릅은 나무가 아닌 다년생 풀로서 땅두릅 또는 풀두릅이라고도 하며 한약명으로 독할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산채이다. 우리나라 어디에나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산의 음지쪽에서 많이 자생하고 있다. 어린 순을 뜯어다가 나물로 무쳐 먹거나 조개나 멸치를 끓인 국에 넣는다. 또한 어린 줄기의 껍질을 벗겨 잠깐 데치든지 날것 그대로를 된장이나 고추장에 찍어 먹는다. 우리의 식성에는 된장 고추장이 가장 적합하다. 여린 잎과 갓 자라 나온 줄기의 껍질은 산뜻한 맛과 씹히는 느낌이 좋다. 될수록 생식하는 것이 건강에 유익하며 녹즙을 내어 마셔도 좋다. 차를 만들어 입안이 심심할 때마다 우려 마셔도 되고, 뿌리를 잘게 썰어 3배량의 소주.. 2022. 4. 26.
두릅나무 가지치기 시기와 방법 두릅나무 가지치기(전지) 시기와 방법,두릅나무 병충해 방제 두릅나무 가지치기(전지) 시기와 방법 일반적으로 가지치기 하면 겨울에 하는것으로 알고 있지만 두릅나무 가지치기(전지) 시기는 5월경에 한다. 두릅나무는 자라는 그대로 재배하면 나무가 너무 커서 관리나 수확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나무높이를 1.5~2m정도가 되도록 매년 수확이 끝나는 즉시 가지를 잘라 주어야 한다. 방임 시 4∼5m까지 자라며 관리가 불편하므로 여러 개의 가지를 만들면서 낮은 수고를 유지하기 위해 가지치기(전지)는 5월 상중순경 두릅 새순을 수확한 직후에 하는 것이 좋다. 가지치기를 하게 되면 잘려진 가지의 가장 가까운 아래쪽의 눈에서 새로운 가지가 2∼3개 갈라져 나오는데 정식 후 이듬해 처음 가지치기할 때는 땅으로부터 30cm 정.. 2022. 4. 21.
두릅나무 심는시기 재배법,두릅나무 삽목법 두릅나무 묘목심는시기 재배방법,두릅나무 삽목법 두릅나무 재배법 다년생식물로서 비교적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고 줄기는 가지가 많고 키가 2~3m 로서 이른 봄에 모두에서 움이 돋거나 7~8월부터 연한 녹색꽃이 피고 8~9월에 열매가 맺는다 목말채 · 모두채라고도 한다. 독특한 향이 있어서 산나물로 먹으며, 땅두릅과 나무두릅이 있다. 땅두릅은 4~5월에 돋아나는 새순을 땅을 파서 잘라낸 것이고, 나무두릅은 나무에 달리는 새순을 말한다. 자연산 나무두릅의 채취량이 적어 가지를 잘라다가 하우스 온상에 꽂아 재배하기도 한다. 나무두릅은 강원도, 땅두릅은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방에서 많이 재배한다. 뿌리는 한약재로 이용하고 잎과 줄기(순)은 고급산채로서 무공해 알칼리성 고급 영향식품 이다. 재배적지 두릅나무는 햇빛.. 2022. 4. 20.
삼채 모종 심는 시기 재배법 삼채 모종 심는 시기,삼채 재배법/뿌리 수확시기 삼채 재배법 삼채는 인삼 맛을 내면서 어린 인삼을 닮았다고 해서 蔘菜 혹은 세 가지 맛(단맛, 쓴맛, 매운맛)을 가지고 있어 불려진 이름(三菜)이다. 부추를 닮았으나 뿌리 부분이 무성하여 뿌리 부추라고도 하며, 삼채를 먹은 사람들이 원기를 회복했다고 해서 ‘삼든 채’라고 부르기도 한다. 삼채는 원래 고랭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원산지는 미얀마나 인도이지만 2010년 국내에 도입된 이후, 강원도, 전라도, 경상도 및 제주도 등 국내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삼채의 식용부위는 잎과 뿌리이다. 모든 뿌리작물이 그렇듯 모래가 섞인 부슬부슬한 땅에서 뿌리가 잘 자란다. 따라서 로터리를 잘 쳐주고 두둑을 높이 형성해 주는 것이 좋다. ​ 삼채의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가.. 2022. 3. 30.
고수 키우기 재배방법,고수 심는(파종)시기 집에서 고수 키우기,고수 심는(파종)시기,고수 재배방법 고수 재배방법-키우기 고수의 특성 고수는 향신채 (향신채란 허브 대파 마늘등 음식의 맛과 풍미를 더해주는 채소를 말함) 중에서 오래전부터 재배해 온 미나리과에 속한 채소다. 줄기는 30~60cm로 곧게 서고 속이 비어 있으며 가지는 갈라져 있다. 향기가 난다. 잎은 2~3회의 새 날개깃 모양으로 분열하는데 맨 끝 쪽의 잎은 선형(線形)이다. 꽃은 6~7월에 백색 또는 담적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8~9월에 결실한다. 고수를 처음 맛본 이는 빈대 냄새가 난다고 하여, 먹기를 주저하게 된다. 하지만 고수에 한번 맛을 들이면 중독성이 강해 그 맛을 잊지 못한다고 한다. 고수풀은 빈대풀이라고 불리며, 영어로는 코리안더(coriander), 실란트론 이라고도 .. 2022. 3. 20.
야콘 재배법,야콘 모종 심는시기 야콘 재배법 보관법,야콘 모종 심는시기/파종시기/수확시기 야콘재배법 야콘(Polymnia sonchifolia)은 국화과 식물로서 뿌리를 이용하며 남아메리카의 에콰도르와 페루가 그 원산지이다. ​ 원산지에서는 다년초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에 지하부가 고사되어 버린다. 초장은 1∼2.5m 정도이고 잎은 밀생하며 지하부에는 번식기관인 관아와 저장기관인 괴근을 형성한다. 개화와 관아형성에는 단일조건이 필요하지만 저장기관인 괴근의 형성에는 단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야콘의 재배 방법은 삽아, 친주의 분할에 의해 더욱 간단하게 번식시킬 수 있으며, 번식에 있어서는 친주의 분할은 문제없지만 삽아에 의한 방법은 구근의 수량이 분할법에서 번식한 것의 1/3 이므로 이듬해에 분할 친주로서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또.. 2022. 3. 14.
아피오스 재배법,인디언 감자 아피오스 파종(심는)시기 방법 인디언감자 아피오스 재배법,아피오스 파종(심는)시기 방법 아피오스(인디언감자) 재배법 아피오스(Apios american Medikus)는 북미가 원산지인 덩굴성 다년생 식물로 최근 그 효능이 알려지면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인삼에 주성분인 사포닌을 비롯해 칼슘, 철분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생소한 이름의 아피오스는 인디언감자라고도 불리는데 이유는 북아메리카 원주민(인디언)들이 전쟁 때, 전투식량이자 천연 자양강장제로 즐겨먹었다고 알려져서다. 특히 일본에서는 힘이 나는 감자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생긴모양은 작고 울퉁불퉁하지만 맛은 인삼, 마, 밤, 고구마, 감자 등 5가지를 느낄 수 있다. 재배적지 아피오스의 생육적온은 25~30도, 4월 중순경 파종해 11월 중.. 2022. 3. 6.
둥근마 재배방법,둥근마 심는(파종)시기 둥근마 심는(파종)시기/먹는법,씨앗으로 둥근마 재배방법 둥근마 재배방법 마는 암수 딴그루 식물이므로 자연상태에서 종간잡종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고 다양한 유전변이가 생겨 마속에는 650종이 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마는 참마, 마, 부채마, 단풍마, 왕마, 털부채마, 털가새마, 국화잎마, 각시마 등이 있다. 마와 참마는 잎이 심장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겨드랑이에서 주아가 생기는데 이것을 영여자(주아)라고 하며 영양번식용으로 이용된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마는 덩이뿌리 모양에 따라 장마, 단마, 둥근마로 나뉘는데 덩이뿌리가 짧은 단마는 수확이 간편하고 수확량도 많아 텃밭 재재용으로 많이 쓰인다. 자연마의 파이프재배 및 둥근마 재재도 지역에 따라 늘고 있다. 마는 덩굴성의 다년생 식물로 비대하는 .. 2022.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