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리레시피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by 초이통 2024. 5. 13.

알토란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열무얼갈이김치 담그는법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열무김치의 시즌이 시작됐다. 봄김치의 대표 선수 열무김치는 갓 담갔을 때는 아삭한 맛으로, 익은 뒤에는 새콤한 맛으로 입맛을 사로잡는다. 주말에 후다닥 만들어두면 내내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열무김치. 설렁탕이나 라면의 짝꿍으로도 좋고, 비빔밥이나 비빔국수에는 훌륭한 토핑이다.

 

열무김치를 만들 때 홍고추를 갈아 색을 내면 훨씬 맑고 깨끗한 국물을 즐길 수 있다. 밀가루 풀은 분량의 재료를 중약불로 계속 저으면서 미음 정도의 농도로 쑤면 된다. 

 

 

열무만 넣어서 담그는 경우도 있고, 얼갈이배추를 약간 섞어서 담가 먹기도 한다. 얼갈이배추의 아삭함이 씹는 감을 더욱 즐겁게 해주는 것도 포인트.

 

열무김치는 열무를 살짝 절인 뒤 버무려야 풋내가 나지 않는다. 너무 오래 절이면 줄기가 억세어져서 맛이 없어지므로 살짝만 절인다. 열무는 오래 두면 군내가 나게 되므로 줄기가 너무 무르기 전에 먹는 것이 좋다. 담근 뒤 하루 정도 숙성시킨 뒤 냉장고에 넣어 두고 적당히 익혀 먹는다.


빨리 숙성된 열무김치를 먹고 싶다면 열무 국물을 만들때 넣는 쌀풀을 적절히 늘려주면 된다. 김치에 넣는 쌀풀이나 설탕 등은 유산균의 먹이가 되는 역할이므로 넣는 양에 따라 숙성되는 속도가 더 빨라진다. 다만 너무 넣으면 열무김치가 쉬어 버릴 수도 있으니 그 양을 비율에 따라서 적당히 조절할 것.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는 양념 만들 때 풀에 보리쌀이나 갈아놓은 감자를 섞어보자. 감칠맛과 시원함이 배가 된다. 동치미처럼 담글 때 사이다를 넣으면 좀 더 달짝지근해지고 빨리 삭는다.

 

열무 고르는 법·보관법

열무고르는 법은 잎이 연둣빛으로 싱싱한 것을 골라야 한다. 열무를 잘랐을 때 줄기의 단면에 수분감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키가 작고 뿌리 부분이 날씬한 어린 열무를 고르며, 잎이 너무 가늘면 빨리 물러질 수 있으므로 줄기가 도톰한 열무를 고른다.

열무 보관법으로는 열무는 신문지나 키친타월에 싸서 밑동을 아래로 하고 냉장고 신선실에 넣어두면 2~3일 정도 냉장 보관이 가능하다. 그 이상 보관을 원하면 팔팔 끓는 물에 데쳐 물기를 살짝 짠 다음 포장해서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다.

 

혹은 그늘지고 바람이 잘 부는 곳에 말려서 시래기 묵나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남은 열무로 김치를 담그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열무 절이기


열무 한 단이면 소금 한 컵에 물 1리터 정도의 소금물에 절이는데, 자박자박해야 열무가 잘 절여진다.
30분 뒤에 어느 정도 숨이 죽으면 뒤적일 때 그냥 통째로 뒤집어 준다. 가능하면 자주 뒤집지 않는다. 여린 채소가 상처 나지 않게 살살 다룬다. 상처가 나게 되면 풋내가 나서 김치 맛이 쓰게 된다.


더운 상온에서 1~ 1.5 시간이면 절여진다. 너무 푹 절이지 않는 게 좋다.
알맞게 절여진 열무는 맑은 물을 넉넉히 받아서 여러 번 살살 헹구어 건져 물을 뺀다.

 

 

열무풀

 

풀은 김치의 단맛과 감칠맛을 살리기 위해 넣는 재료다. 또 풀은 김치와 양념을 잘 밀착시켜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김치가 익고 난 뒤에 빨리 시는 것을 방지하며, 김치에 구수한 맛을 더하고 풋내를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찹쌀풀과 밀가루풀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찹쌀풀은 모든 김치에 잘 어울리고 특히 배추김치에는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배추김치나 깍두기에는 묽은 죽 형태가 좋고, 총각무김치처럼 젓갈과 고춧가루가 많이 들어가는 김치에는 좀 되게 쑤어서 넣는다. 밀가루풀은 열무김치나 얼갈이김치처럼 심심하고 시원하게 담그는 김치와 어울린다.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재료: 열무 1kg 
부재료: 오이 1개, 홍고추 7개, 풋고추 3개, 대파 10cm 5대, 마늘 12쪽, 생강 2톨, 소금 1/2컵, 소금 2.5큰술, 물 6컵, 멸치액젓 2큰술 
밀가루 풀 재료: 밀가루 4큰술, 물 1컵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

 

1. 열무의 뿌리 부분을 칼로 긁어 손질한 후 찬물에 담가 흔들어 풋내를 제거한다. 
2. 뿌리가 큰 것은 반으로 썰고 줄기와 잎을 5cm 길이로 썬다.  
3. 소금, 물 1/3컵을 뿌린 후 20~30분간 저린 다음 헹궈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4. 오이를 소금에 씻은 후 4cm 길이로 썬 후 열십자로 4등분하며 대파는 어슷 썬다. 
5. 믹서기에 홍고추, 마늘, 생강을 넣고 간다.  
6. 풋고추의 씨를 제거한 후 어슷 썬다.  
7. 냄비에 밀가루 풀 재료를 넣고 센불에 끓인 후 끓어오르면 약한 불로 줄인다. 
8. 7의 과정은 밀가루 풀이 플레인 요구르트 농도가 될 때까지 끓인 후 불을 끄고 식힌다. 
9. 볼에 5의 간 재료들과 멸치액젓, 소금, 물 1/2컵을 섞는다. 
10. 열무, 오이, 풋고추, 대파도 볼에 넣어 골고루 버무린다.  
11. 저장할 용기에 담고 나머지 물을 붓는다. 
12. 실온에서 반나절 숙성하여 냉장실에 넣어 익히면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가 완성된다.

 

 

알토란 김하진 무르지 않는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재료 : 열무 1.6kg (손질 후 실량 기준), 오이 4개, 실파 160g, 홍고추 3개, 홍고추 130g, 양파 100g, 고운 고춧가루 반컵, 사과 반개, 배 80g, 물 40컵, 밀가루 3큰술, 설탕2큰술, 소금 4컵 반, 통마늘 100g, 생강, 멸치액젓, 굵은 소금, 천일염, 볶은 멸치 80g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


1. 열무는 30분간 물에 불려 깨끗하게 씻어 준비한다.

2. 물 24컵에 굵은 소금 4컵을 풀어 소금물을 만든다.

3. 손질한 열무를 소금물에 담가 15분 간격으로 뒤집어 가며 30분간 절인 후 1~2번만 가볍게 헹궈 짠맛을 뺀다.

4. 오이 4개는 깨끗이 씻고, 끝부분을 자르고 반으로 갈라 껍질째 6등분 하고 씨 부분은 제거한다.

5. 물 5컵+소금 반 컵의 소금물에 오이를 30분간 절인다

6. 다 절인 오이는 면포로 감싸고 손으로 꽉 짜서 수분을 빼낸다

7. 양파 100g은 채를 썰고, 홍고추 3개는 어슷썰기 하고, 실파 160g은 알뿌리를 반으로 가르고 3~4cm 길이로 썰어 준비해둔다.

8. 냄비에 물 11컵과 볶은 멸치 80g을 넣고 끓인다. 끓이는 과정에서 졸아들어 총 8컵의 육수가 완성 된다.

9. 멸치육수 4컵은 따로 빼두고, 나머지 뜨거운 멸치육수 4컵에 밀가루 3큰술을 섞어 밀가루 풀을 만든다.

10. 빼두었던 4컵의 멸치육수에 밀가루 풀을 섞어 식힌다.

11. 사과 반개, 배 80g, 양파 100g은 얇게 채 썰어 믹서기에 넣는다.

12. 멸치액젓 반 컵과 고운 고춧가루 반 컵을 믹서에 넣고 나서 믹서에 들어간 재료들을 모두 곱게 간다.

13. 생강 10g은 얇게 채를 썰고 홍고추 130g은 어슷썬 후 통마늘 100g과 함께 믹서에 넣고 너무 곱지 않게 대충 간다.

14. 큰 볼에 절인 열무, 수분을 뺀 오이, 썰어 놓은 실파, 양파, 홍고추를 넣고 풋내가 나지 않게 살살 버무린다.

15. 식혀 놓은 밀가루 풀과 남겨놓은 멸치육수 4컵을 넣는다.

16. 믹서로 갈아둔 양념을 모두 넣고 설탕 2큰술을 넣는다.

17. 절인 열무에 양념장을 발라 살살 섞고 나머지 재료들도 풋내가 나지 않게 살살 버무려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를 완성한다.

 

알토란 임성근 열무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재료 : 열무 4kg(4단), 얼갈이배추 2kg(2단), 양파 1개 반, 청양고추 15개

-김치 양념장 재료(계량컵은 200ml기준) : 건고추 450g, 배 1개, 통생강 3개(60g), 사과 2개, 물 3.5L, 양파 2개, 다진 마늘 1컵, 참치액젓 1컵, 설탕 300g(약 1⅔컵), 고운 소금 90g(약 ¾컵), 시판용 사골 육수 2컵 반

 

 

열무 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

 

1. 밑동을 자른 후 5~6cm 길이로 썰어 손질한 열무 4kg(4단)과 밑동을 자른 후 큰 겉잎만 5~6cm 길이로 썰어 손질한 얼갈이배추 2kg(2단)을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뺀다. 얼갈이배추의 크기가 작은 속잎은 칼로 자르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2. 믹서에 물 1.5L에 건고추 450g을 넣고 10~15분 불린 건고추, 손질한 배 1개, 통생강 3개(60g), 물 2L, 손질한 사과‧양파 각 2개를 넣고 거칠게 간다. 이 때 건고추 불린 물과 건고추씨도 함께 믹서에 갈아준다,

3. 김치 양념장을 만든다. 볼에 다진 마늘‧참치액젓 각 1컵, 설탕 300g(약 1⅔컵), 고운 소금 90g(약 ¾컵), 시판용 사골 육수 2컵 반, 채 썬 양파 1개 반, 어슷썰기한 청양고추 15개를 넣고 섞는다.

4. 볼에 손질한 열무와 얼갈이배추 적당량을 넣고 양념장 일부를 넣은 뒤 그 위에 또 열무와 얼갈이배추를 올린 뒤 양념장 일부를 켜켜이 넣어준다. 20~30분 후 열무와 얼갈이 숨이 죽으면 살살 섞은 후 밀폐 용기에 담고 열무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를 미무리 한다.

 

열무와 얼갈이는 양념을 켜켜이 넣은 뒤 중간에 한 번 뒤집어주면 양념이 골고루 잘 배인다.

 

만물상 유귀열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열무 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오래 둬도 아삭함이 유지되는 ‘열무 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1. 열무, 얼갈이, 굵은 소금, 쪽파 한 줌, 청양고추 5개, 홍고추 5개, 찹쌀가루 2스푼, 메밀가루 2스푼, 물 2컵을 준비한다.
2. 양념 재료로 배 1/2개, 양파 1/2개, 홍고추 15개, 물 2컵, 무, 멸치액젓 1컵, 다진 마늘 1/2컵, 설탕 2큰술, 고춧가루 1/2컵, 소주 1/2컵, 소금 1큰술을 준비한다.
3. 냄비에 찹쌀가루 2스푼, 메밀가루 2스푼, 물 2컵을 섞어 풀을 쒀준다.
4. 배 반 개, 양파 반 개, 홍고추 15개, 물 2컵, 무를 믹서기에 넣고 곱게 갈아준다.
5. 멸치액젓 1컵, 다진 마늘 반 컵, 설탕 2스푼, 고춧가루 반 컵을 넣어준다.
6. 양념장에 찹쌀과 메밀을 더한 반반 풀, 소주 반 컵을 넣고 섞는다.
7. 쪽파 한 줌, 청양고추 5개, 홍고추 5개를 썰어 넣어준 뒤 살살 버무리면 열무 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가 완성된다.
 

만물상 찹쌀풀을 쑤지 않은 열무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유귀열 조리기능장은 "열무 총각무은 5월이 영양도 많고 제일 맛있다. 찹쌀풀을 쑤지 않은 열무김치다. 풀을 안 쒀도 2~3주는 거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귀열 조리기능장은 좋은 열무에 대해 "연녹색을 띠며 두툼하고 길이는 한 뼘 정도가 적당하다. 열무는 잔뿌리 있는 곳만 칼로 다듬어라"고 전했다.

 

열무 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열무 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


1. 열무는 잔뿌리를 다듬고 4등분한다.

2. 열무와 얼갈이를 깨끗이 씻는다.

3. 소금과 물 1:10의 비율로 소금물을 만들어 2시간 정도 절인다.

4. 절인 열무와 얼갈이는 깨끗이 씻는다.

5. 양파 한 개, 배 반 개, 마늘 한 줌, 홍고추 6개를 썰어 믹서에 간다.

6. 간양념에 멸치액젓 5큰술, 설탕 1큰술을 넣고 썰어 놓은 파를 넣는다.

7. 껍질 벗긴 감자를 잘게 썬 뒤 전자레인지에 6~7분 익힌다.

8. 익은 감자를 으깬뒤 양념재료에 넣는다.

9. 양념에 절인 열무와 얼갈이를 버무리고 열무 얼갈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황금레시피를 미무리 한다.

 

열무 물김치 담그는법(백종원,알토란)

 

열무 물김치 담그는법(백종원,알토란)

백종원 열무 물김치 담그는법,알토란 얼갈이 열무 물김치 담그는법황금레시피열무 물김치 담그는법 열무 물김치는 아삭한 열무와 시원한 국물이 일품인 여름철 별미 김치이다. 이 음식은 다양

info.nongsaro.co.kr

 

오이소박이 맛있게 담그는법(무르지않게 담는법)

 

오이소박이 맛있게 담그는법(무르지않게 담는법)

백종원 오이소박이 맛있게 담그는법,알토란 오이소박이 무르지않게 담는법오이소박이 맛있게 담그는법(무르지않게 담는법)오이의 아삭함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식감이 최고의 매력. 함께 곁

info.nongsaro.c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