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77

고구마 수확시기 보관하는법 중부지방 고구마 수확시기,고구마 보관하는법/맛있게 먹는법 고구마 수확시기 고구마는 덩이뿌리를 식용으로 하는 작물로 다른 작물과 달리 수확시기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으나 수량·품질·용도 및 시장성 등을 고려하여 수확시기를 결정한다. 중부지방 고구마 수확시기 중부지방 고구마의 수확 시기는 보통기 재배의 경우, 수량은 9월 하순까지 거의 결정이 되고 그 이후의 수량 증가는 미미하므로 9월 하순부터 10월 상중순까지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수확하는 것이 가장 좋다. 중·북부지역의 첫서리가 내리는 시기도 10월 중순경이다. 납부지방 고구마 수확시기 밤고구마는 식재시기도 빠르지만 조생종들이 대부분이라 90일 정도면 어느 정도 크기가 완성이 된다. 따라서 남부 지방은 4월 중하순에 식재하여 8월 초부터 고구마 수확.. 2022. 10. 3.
김장배추 웃거름(추비)주는시기,김장배추 병충해 방지 방법 김장배추 웃거름(추비)주는시기,김장배추 병충해 방지 방법/방제법 김장배추 웃거름(추비)주는시기와 방법 밑거름이 충분하다면 웃거름 없이도 잘 성장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따라서 배추를 정식하고 보통 보름간격으로 3~4차례 웃거름을 줘야 된다. 웃거름을 줄 때는 동물의 분뇨는 가급적 피하고 화학비료나 깻묵,쌀겨,한약재 등 완숙된 거름이 비교적 안전하다. 김장배추, 김장무를 심고 15일이 경과하면 1차 웃거름(추비)을 해줘야 한다. 그 이후 15일마다 추비를 해주며 3~4회 정도 시행해줘야 한다. 추비할때마다 비료성분과 시비량이 매번 달라지는데 전문농도 하기 힘든 일을 텃밭농사를 하면서 비율을 잘 맞춘다는건 무리이며 그냥 복합비료를 주면된다. 웃거름주기(추비) 웃거름(추비) 주는시기는 어릴 때에는.. 2022. 10. 2.
김장배추 심는시기 방법 남부지방 중부지방 김장배추 모종 심는시기 방법 김장배추 모종심는시기 방법 지금 우리가 먹는 배추김치는 전통시대의 선조들이 먹었던 배추와 다르다는 것을 알고계신분이 많이 있지는 않을 듯하다. 노란속이 있는 김장배추는 조선 말기에 중국에서 유입된 호배추가 개량보급된 것이며, 우리 조선배추는 포기(결구)가 없고 파란 잎이 있는 뿌리배추이다. 조선배추는 저장성이 좋아 냉장고가 일반적으로 보급되지 않았던 1970년대까지 조선배추로 한겨울 김장을 하여 늦봄까지 김치를 먹고, 배추뿌리도 다양하게 요리하여 먹었던 일상의 음식재료가 이제는 옛이야기가 되어 버렸다. 배추는 품종보다는 자라는 환경에 따라 품질이 달라진다”고 말한다. 보통 여름철 서늘한 고랭지에서 자란 배추가 품질이 좋다는 통설이 있지만 사실은 다르다. 가장.. 2022. 8. 21.
김장무 파종시기/심는시기,가을 김장무 재배방법 중부지방 가을 김장무 파종시기/심는시기,김장무 재배방법 가을 김장무우 재배방법 무는 배추와 함께 우리의 주된 김장재료로 깍두기, 무말랭이, 단무지 등 한국인들의 식생활에 오랫동안 다양하게 이용되어 온 채소다. 무는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뿌리의 디아스타제는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추와 재배시기를 같이 가져가면 수월하다. 즉, 가을에 파종하여 김장철에 수확하는 재배가 무난하다. 그래서 보통의 텃밭에서 무를 재배한다고 하면 가을재배를 의미한다. 무는 서늘한 기후가 오래 지속되는 지역이 고향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재배한다. 무는 감자, 상추, 열무, 아욱 등의 봄채소를 수확한 장소에 기르면 된다. 뿌리 위주의 종자와 무청 위주의 종자가 있는 반면 절충식의 종자도 있다. 보통 김장용으로만 사용하는 경우는.. 2022. 8. 5.
김장배추 파종(심는)시기,김장배추 재배방법 중부지방 김장배추 모종심는시기,가을 김장배추 재배방법 김장배추 심는(파종)시기와 재배방법 재배환경 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채소로 가장 잘 자라는 온도는 18~20℃이고, 15~18℃에서 포기가 잘 든다. 그러나 생육 초기에는 높은 온도에서 잘 자라며 추위에 강하여 얼어 죽는 피해를 입는 온도는 영하 8℃ 정도이나 갑자기 추워지면 영하 3℃에서도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저온에 일정기간 노출된 다음 고온과 접하면 꽃눈이 올라와 정상적인 배추를 수확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배추는 뿌리가 깊게 뻗고 잔뿌리가 많으므로 토심이 깊고 물 빠짐이 잘 되는 토양을 좋아한다. 반면 건조에 약하므로 생육 초기인 8~9월에 가뭄이 올 경우에는 물을 대주어야 한다. 또한, 산성토양에서는 무사마귀병과 석회결핍증이 .. 2022. 7. 25.
감자 보관법 오래 보관하는법 감자 보관법 감자는 쉽게 상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오래 보관하기가 쉽지 않다. 신문지에 싸서 김치냉장고 같은 곳에 보관하면 괜찮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오래 보관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정에서 감자보관법은 그늘에서 바람에 말린 뒤에, 구멍이 없는 박스를 사용하면 숨을 쉴수 없기에 양쪽에 구멍이 뚫린 종이 상자에 사과 한두개를 넣고 담아서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관하면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하다. 감자는 8도의 온도에서는 싹이나고, 영하 1도에서는 얼기 때문에 감자보관 적정온도는 1~4도 라고 한다. 빛이 들어가게 되면, 감자의 표면이 녹색으로 변하게 되고, 충분히 마르지 않으면 싹이 난다. 감자의 싹이나 녹색으로 변한 부분엔 솔라닌이란 독성 물질이 있다고 하는데, 구토, 복통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한다. 그.. 2022.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