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텃밭가꾸는방법81

텃밭 가꾸는 방법,텃밭 작물 파종시기 텃밭 작물 파종시기,베란다(실내)텃밭 가꾸는 방법 텃밭 가꾸는 방법 텃밭에 작물을 기르기 위해서는 먼저 무엇을 기를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볼 일이다. 가족들이 즐겨먹으면서도 쉽게 기를 수 있는 품종을 고르되 각각의 채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염두에 두고 선택하는 것이 좋다. 처음부터 가꾸기가 까다롭고 병과 벌레가 많은 것을 선택하면 가꾸는 사람의 의욕이 떨어지고 자칫 텃밭농사를 망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초보자는 가꾸기 쉬운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대체로 잎채소(상추, 시금치, 쑥갓, 배추)나 뿌리채소(당근, 무, 토란, 고구마, 감자), 완두, 강낭콩 등이 기르기 쉬운 편이다. 토마토, 호박, 고추, 가지 등은 보통이라 할 수 있으나 오이, 수박, 참외 등은 좀 까다롭다 할 수 있다. 텃밭을 만들기.. 2022. 2. 12.
유채꽃 파종시기와 개화시기 유채 씨앗뿌리는 시기,유채꽃 파종시기와 방법,제주 유채꽃 개화시기 유채꽃 파종시기와 방법 재배환경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되나 중북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되지 않아 봄 또는 가을 재배에 적합하며, 생육적온은 20~25℃ 이다. 유채는 토양의 비옥도가 높은 곳을 좋아하며 약한 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라고, 햇빛과 적당한 수분이 있으면 생육에 지장이 없다. 유채 품종 1996년에 개발된 탐미유채는 한라유채나 내한유채보다 꽃이 크고, 색깔도 진하여 제주도 등지의 화훼관상용으로 인기가 높으며 종실을 이용한 식용기름으로도 손색이 전혀 없는 품종이다. 또한 개화하는 습성이 타 품종보다 탐스러워 관상용으로 좋다. 유채는 꽃이 빨리 피는 품종과 늦게 피는 품종을 1:1로 섞어 파종하면 꽃이 피어있는 기간이 늘.. 2022. 2. 11.
열무 파종(심는)시기,열무 재배방법 봄열무 파종(심는)시기,열무 재배방법 열무 재배방법 ​연하고 부드러운 맛의 열무는 원래 ‘어린 무’를 뜻하는 ‘여린 무’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에는 여름 한 철의 특산물이었지만, 지금은 시설재배로 사철 공급되고 있다. 열무로 담근 열무김치는 냉면, 비빔밥, 비빔국수 등 여름음식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없어서는 안될 메뉴로 사랑 받고 있다. 특히 발효 식품인 열무김치는 비타민이 풍부하여 탄수화물인 보리밥에 단백질이 들어간 계란을 곁들인 비빔밥 한그릇이면 완벽한 영양의 조화를 이룬다. ​ 1. 재배환경 발아 : 15 ~ 30℃, 35℃이상이면 발아가 곤란 - 생육적온 : 20℃, 13℃이하로 떨어지거나 고온이 되면 상품성이 저하됨 열무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추위와 더위에 약함 -광조건 : 빛이 강하고 양지.. 2022. 2. 10.
호박 심는(파종)시기 재배방법 호박씨 모종 심는(파종) 시기,맷돌호박 재배방법,호박 순치기방법 호박 재배방법 텃밭에서 주로 키우는 호박은 애호박 전용으로 먹는 마디호박(쥬키니 호박이라고도 한다)과 노랗게 늙혀서 먹는 맷돌호박(늙은호박)과 밤처럼 먹는 단호박이 적당하다. 호박은 초봄에 심어 6월쯤부터 열매를 따서 서리가 내릴 때까지 먹을 수 있어 우리의 밥상을 풍성하게 해준다. 밑거름을 잔뜩 해주면 더이상 손볼 것도 없이 제가 알아서 잘 자라고 또 알아서 사람들에게 소중한 먹을거리를 제공해준다. 직파하는 경우 직근은 2m까지 자라며 측근이 잘 발달하여 양수분 흡수에 유리한 근계를 형성한다. 줄기는 덩굴성으로 어미덩굴이 길게 자라는데 페포계 호박은 덩굴성 품종도 있지만 마디마디가 짧아 비덩굴성을 나타내는 품종이 많다. 1. 호박의 종류 .. 2022. 2. 9.
상추 파종시기 모종 심는시기와 방법 봄상추 파종시기,상추 모종 심는시기와 방법/물주기 상추 파종시기 상추는 재배시기만 지키면 비교적 잘 자라는 작물이다. 기온이 15℃ 이상으로 올라갈 때 파종(씨뿌리기)하고, 30℃ 이상이 될 때는 서늘해지기를 기다려야 한다.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우리나라는 봄, 가을이 상추 재배의 적기다. 파종 후 옮겨심기를 하지 않고 솎아내면서 본밭에 길러도 된다. 상추 종류 상추 품종은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봄재배용 품종, 여름철에도 꽃대가 늦게 올라오는 품종, 가을에 재배하는 품종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므로 재배하고자 하는 계절에 맞추어 품종을 선택하여야 한다. 상추는 모종 판매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직접 씨를 뿌려 재배한다. 봄 재배용 : 선풍포찹적축면 상추, 연산홍적치마,.. 2022. 2. 9.
상추 파종시기 재배방법 봄 상추 재배방법,상추 파종(심는)시기와 방법,상추 종류 상추 재배방법 우리가 즐겨 먹는 상추쌈은 지금은 고기 옆에 따라 붙는 조연 신세지만 원래는 복을 싸 먹는 세시 풍속으로 우리민족의 독특한 비타민 섭취 방법이고 지혜였다. 직접 키운 싱싱한 상추와 보리밥에 쌈장을 곁들인 쌈은 우리 선조들에겐 건강식단의 기본이었다. 상추에는 육류에 부족한 비타민C와 베타카로틴, 섬유질을 보충해주고 체내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것을 막아주고 피를 맑게 해주는 작용을 하므로 고기 먹을 때 같이 섭취하면 좋다. 상추 종류 품종선택 포인트 : 상추 품종은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봄재배용 품종, 여름철 에도 꽃대가 늦게 올라오는 품종, 가을에 재배하는 품종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므로 재배하고자 하는 계절에 맞추어 품종을.. 2022. 1. 26.
양파 재배 방법,양파 병충해 방제/웃거름주는시기 양파 재배 방법,양파 병충해 방제/웃거름주는시기 양파 재배 방법 양파 파종시기 양파는 8월중순 ~ 9월중순에 파종하여 밭에는 10월상순 ~ 11월상순에 정식(아주심기)한다. 양파의 파종시기는 수량과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시기를 잘 선택하여 파종하여야 한다. 파종시기가 빠르면 큰 묘가 되어 추대 및 분구가 많아지고 파종시기가 늦어 작은 묘를 심으면 추대 및 분구는 적어지나 내한성이 약해지고 수량도 떨어진다. 파종시기는 재배지역 품종 및 재배목적에 따라 달라지는데 지역적으로 추위가 일찍오는 중부내륙지방 일수록 빠르고 남부해안 지방은 늦다. 또한 품종별로는 이른 봄에 일찍 구가 비대되는 조생종일수록 빠르고 중만생 일수록 늦다. 일반적으로 파종시기는 그 지방의 평균 기온이 15℃가 되는 날에서 45~55일 역산.. 2021. 11. 7.
마늘 재배방법/웃거름주는시기 마늘 심는시기 재배방법,,마늘 웃거름주는시기/병충해 종류 및 방제시기 마늘 재배방법 마늘의 특성 형태적 특성 ○ 백합과 파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양파, 파, 부추 등의 인경채소류와 비슷한 식물적 특성을 가짐 ○ 냄새가 매우 독특하고 인경과 짧은 단축경을 가지고 있음 ○ 뿌리는 다수 섬유근이 단축경에 붙어 있는 2년∼다년생 식물임 ○ 잎은 엽초와 엽신으로 분화되어 있고 엽초는 중심부가 빈 원풍상임 ○ 일정한 영양생장기간을 거친후 적합한 환경에 처하면 화아분화와 동시에 인편분화가 시작됨 생리ㆍ생태적 특성 ▣ 생리ㆍ생태적 특성 ○ 월동 2년생 작물로서 지역에 따라 월동전, 또는 월동후에 맹아함 ○ 우리나라 품종은 크게 난지형과 한지형으로 구분함 ○ 한지형은 휴면기 저온요구도가 높으며 일장에는 둔감한 특성을 가지.. 2021. 11. 2.
김장배추 김장무 수확시기와 보관하는 방법,김장 시기와 김장 하는법 김장배추 김장무 수확시기와 보관하는 방법,김장하는 방법과 시기 김장배추 수확시기 김장을 목표로 최종 수확하는 배추는 너무 늦게 수확하면 언 피해를 입기 쉽고, 품질이 나빠지므로 적기에 수확한다. ​ 노지에서는 영하 3℃정도 되면 겉잎이 얼게 되는데 얼었을 때에는 수확하지 말고 그대로 두었다가 기온이 올라 얼었던 부분이 녹았을 때 수확하여야 한다. ​ 수확한 배추를 저장할 때는 땅속에 묻는 것이 좋지만 가정에서 소량을 저장할 경우 겉잎을 제거하고, 2~3일 음지에서 건조시킨 다음 배추를 신문지에 싸서 얼지 않을 정도의 서늘하고 어두운 장소에 세워두면 상당한 기간 동안 저장된다. 또 비닐로 싸서 0~10℃ 정도의 온도에 두어도 꽤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 결구는 날씨가 추우니까 얼지않으려고 일어나며 1.. 2021. 11. 1.
반응형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