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방울토마토 키우기/재배법,방울토마토 모종 심는시기 방울토마토 키우기/재배법,방울토마토 모종 심는시기와 방법/곁순제거 방울토마토 키우기/재배법 방울토마토는 높은 기온과 충분한 물을 필요로 한다. 보통 토마토는 낮기온 평균 25도 정도에서 제일 잘 자라지만 그보다 몇도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란다. 방울토마토는 일반 토마토에 비하여 기형과 및 생리적 장해가 적으며 병충해 에도 강한 편이다. 과실의 형태는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며 화방당 상품과 수는 8 - 20개 정도되고, 완전히 익은 방울토마토의 무게는 10 - 20g 정도이다. 개화 및 결실, 성숙은 일반토마토에 비하여 10 - 15일 정도 빠르며 비료를 흡수하는 힘과 잎자람새가 중간정도로 재배에 적당하다. 일반토마토에 비하여 키우기가 용이하며 수확량이 많다. 방울토마토 모종고르기 -키가 너무 크지.. 2022. 3. 17.
청경채 파종(심는)시기,청경채 재배방법 청경채 파종시기/심는시기,청경채 재배방법/먹는법 청경채 재배방법 청경채의 특성 정경채의 초장은 25㎝로 잎과 잎줄기 색이 녹색으로 뿌리 위 밑둥을 잘라먹는 것으로 비교적 생육기간이 짧은데 파종 후 수확까지 봄, 가을 파종은 45~50일, 여름 파종은 30~35일 정도 밖에 안 걸린다. 차고, 서늘한 기후대에서 잘 자라지만 내서성도 강하다. 배추과 채소의 특성상 저온에서 꽃눈이 형성되어 장일 조건에서 추대된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포기를 2~3번 세로로 잘라서 소금과 청주로 맛을 내 음료, 스프조림, 우유 조림 등에 이용하지만 국내에서는 주로 쌈, 샐러드, 국거리 등으로 이용된다. 청경채는 생육단계별로 온도 관리를 다르게 해야한다. 종자를 싹이 잘 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15~20℃정도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2022. 3. 16.
토란 심는 시기 재배 방법 남부지방 토란 심는심는시기와방법,토란 재배 방법/수확시기 토란 재배 방법 토란은 글자 그대로 땅 속의 알이다. 맺힌 알을 거두어 껍질을 벗겨 국으로 끓이면 진짜 생긴 게 조그만 예쁜 하얀 알 같다. 그러나 토란의 제격은 역시 그 넓은 잎사귀에 있다. 아마 작물 중에서 토란만큼 넓은 잎은 없을 것이다. 비올 때 임시 우산의 대용으로 썼을 정도이니 말이다. 토란은 또 하얀 꽃을 피우는데, 너무 드물게 피워 토란꽃을 본 사람이 드물다. 드문만큼 희소가치를 더하기 때문인가, 하얀 꽃의 수려함이 참으로 정숙하고 단아하다. 오랜 세월 재배작물로 키워지면서 개화습성이 없어져 가고 있다고 하는데, 날씨가 꽤 더운 해의 가을에 간혹 꽃을 피운다고 한다. 토란은 인도를 중심으로 그 주변인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라고 한다. 큰.. 2022. 3. 15.
야콘 재배법,야콘 모종 심는시기 야콘 재배법 보관법,야콘 모종 심는시기/파종시기/수확시기 야콘재배법 야콘(Polymnia sonchifolia)은 국화과 식물로서 뿌리를 이용하며 남아메리카의 에콰도르와 페루가 그 원산지이다. ​ 원산지에서는 다년초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에 지하부가 고사되어 버린다. 초장은 1∼2.5m 정도이고 잎은 밀생하며 지하부에는 번식기관인 관아와 저장기관인 괴근을 형성한다. 개화와 관아형성에는 단일조건이 필요하지만 저장기관인 괴근의 형성에는 단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야콘의 재배 방법은 삽아, 친주의 분할에 의해 더욱 간단하게 번식시킬 수 있으며, 번식에 있어서는 친주의 분할은 문제없지만 삽아에 의한 방법은 구근의 수량이 분할법에서 번식한 것의 1/3 이므로 이듬해에 분할 친주로서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또.. 2022. 3. 14.
비료 종류와 복합비료(21-17-17) 주는방법 유기질 비료 종류,유박비료 주는시기,복합비료(21-17-17) 주는방법 비료 종류와 복합비료 주는방법 비료라 함은 식물에 영양을 주거나 식물의 재배를 돕기 위하여 흙에 화학적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물질을 말한다. 자연에서 스스로 얻을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모자라는 영양분은 따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양분은 질소, 인산, 칼리이며 이를 비료의 3요소라고 한다. 여기에 토양의 산성도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석회질 비료까지 더해 비료의 4요소로 작물 성장에 꼭 필요한 양분들이다. 질소(N)는 모든 식물이 자라는데 가장 중요한 단백질의 바탕이 된다. 토양 중에 가장 부족하기 쉬운 양분이며 질소성분이 부족하면 잎이 누렇게 되거나 말라죽게 되며 줄기의 성장이 저해된다. 인산(P2O5)?은 작물의 결실.. 2022. 3. 14.
옥수수 파종(심는)시기 재배방법 옥수수 파종(심는)시기,옥수수 재배방법/수확시기 옥수수 재배방법 옥수수는 예부터 강원도 등지에서 식량작물로 많이 재배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풋옥수수용으로 재배되는 면적이 늘어나고 있고 축산의 사료용 옥수수는 더욱 많아졌다. 옥수수는 다른 작물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재배할 수 있고 병의 발생이 적어서 아무데서나 잘 자라는 작물이다. 옥수수는 아서 간식용으로 하며 특별한 영양가는 없는 편이다. 옥수수는 옥수수의 수염이나 이삭 속은 생약이나 잇몸질환치료용의 의약품 재료로 이용되는데 이런 강기능성 때문에 수염차를 끓여서 먹기도 한다. 텃밭에서 옥수수를 심으면 토양 속에 있는 과잉의 비료분을 제거해주며 수확 후에 나오는 옥수수대는 잘라서 토양에 도로 으면 훌륭한 유기물 재료가 되어 토양을 부드럽게 .. 2022. 3. 13.
생강 심는심는시기와 방법,생강재배 방법 생강 파종시기,생강 심는심는시기와 방법,생강재배 방법 생강재배 방법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땅속에서 발달하는 덩이줄기는 옅은 황색 또는 붉은색으로 울퉁불퉁한 모양이다. 잎은 줄기에 2줄로 어긋나기도 하며 잎새는 버들잎이나 댓잎처럼 가늘고 긴편이고 길이는 15~30㎝로서 밑부분은 풀모양으로 길게 줄기를 싸고 있다. 번식은 덩이줄기를 주로 이용하며 가공용, 양념용 또는 약용으로도 이용된다. 생강은 고온다습한 기후에 적당하며, 생육적온은 20~30℃이고 15℃이하에서는 생육이 정지되며 10℃이하에서는 동해를 입어 부패한다. 토양적응성은 좋은 편이나 부식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 되며, 보수력이 있는 참흙인 양토에서 잘자란다. pH는 6.0정도가 적당하며 4.3이하에서는 생육이 불량하다. 산성토.. 2022. 3. 13.
땅콩 파종(심는) 시기와 방법,땅콩 재배법 땅콩 재배법,땅콩 파종시기/모종 심는 시기와 방법,땅콩 병충해 사진/수확시기 땅콩 재배법 ​땅콩의 재배환경 땅콩의 원산지는 열대,아열대 지역으로 주로 배수가 잘되고 다소 건조한 곳에서 재배하는 고온성 두과식물로 초형의 생육 습성에 따라 포복형과 직립형으로 나뉘고 종자의 크기에 따라 소립종, 중립종, 대립종으로 구분된다. 땅콩재배시 직립형은 줄기가 곧게 직립하기 때문에 파종간격을 좁혀 재배하고 포복형은 줄기가 땅을 기면서 생육하기 때문에 파종간격을 비교적 넓혀 재배한다 또한 소립종의 발아 적온은 23~25도이고 대립종의 발아 적온은 25~35도이며 소립종의 영양 생장기간 120~130일, 대립종의 영양 생장기간은 150~180일 정도로 비교적 길기 때문에 대립종의 땅콩은 남부 지방에서 재배하는 것이 적합하.. 2022. 3. 12.
단호박 심는(파종)시기,단호박 재배 방법 단호박 파종시기/모종 심는시기,단호박 재배 방법/순지르기 그림 단호박 재배 방법 생리적 특성 단호박의 원산지는 남미 고원지대의 서늘한 기후 지역이다. 박과작물 중 저온에 서도 잘 생육하여 노지재배의 경우 다른 과채류 보다 일찍 옮겨심게 되는데 서리에 는 약하다. 또한 고온에서도 잘 견디나 터널재배시 터널 내 온도가 35℃이상 올라가면 고온장해를 받기 쉽다. 한여름에는 고온에 견디는 힘이 강하나 고온에 의한 품 질저하, 바이러스병, 흰가루병 등의 발생이 심하다. 일반적으로 저온신장성이 강한 편이다. 종자 발아는 최저 15℃, 최적온도는 25~28℃, 30℃이상이 되면 발아 억제가 된다. 생육적온은 20~25℃정도이며 단호박은 평균기온이 22~23℃를 넘으면 탄수 화물의 축적이 낮아진다. 35℃이상에서는 꽃.. 2022. 3. 8.
반응형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