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73 수박 모종 심는 시기 재배법 노지수박 모종 심는 시기,수박 재배법,수박 순치기 방법/순지르기그림 수박 재배법 수박박과에 속하는 일년생 호온성 식물로써 낮 동안의 일사량이 충분할 경우 광합성을 촉진할 수 있는 적온은 25~30도, 야간 광합성산물의 전류에 알맞은 온도는 16~20도, 지온은 18~20도가 적온이며, 10도전후의 저온이 되면 생장점에 장해를 받아 순멎이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토심이 깊고 통기와 배수가 잘되는 토양산도 pH 5.0~6.8정도의 약산성 토양에서 잘 자란다. 수박은 연작장해를 비롯하여 환경 스트레스와 병해에 약하기 때문에 박이나 호박을 대목으로 이용하는 접목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토양 수박의 뿌리는 공기를 좋아하고 깊게 뻗기 때문에 경토가 깊고 통기성이 좋은 사질양토가 좋다. 수박은 토양의 성질에 따라 생.. 2022. 3. 21. 참외 수박 순치기 방법(순지르기 그림) 수박 순지르기 그림,참외 순치기 방법 참외 순치기 방법(순지르기 그림) 참외 가꾸기는 순치기가 중요하다. 줄기 나오는 순서에 따라 본줄기, 아들줄기, 손자줄기라고 하는데 손자줄기에서만 열매를 얻는다. 원줄기가 7~8마디 자랐을 때 줄기 끝으로 나오는 순(끝순)을 잘라야 아들줄기가 뻗는다. 아들 줄기 역시 12~15마디 자랐을 때 끝순을 자른다. 순치기를 안하면 열매를 얻는 손자줄기가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아들줄기의 곁순을 자르면 손자줄기가 나오는데 첫 번째나 두 번째 마디에서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힌다. 열매가 맺힐 무렵 제초 작업과 함께 웃거름을 준다. 거름의 질소질이 부족할 경우 깻묵이나 깻묵 액비를 쌀겨, 숯가루와 섞어 주면 좋다. 손자줄기에서 열매가 맺히면서 동시에 증,고손줄기들이 새순.. 2022. 3. 20. 서리태 파종(심는)시기 재배법 서리태콩 파종(심는)시기,검은콩 서리태 재배법/순치기 방법서리태 콩 재배법우리나라에서 검정콩은 쌀과 함께 밥을 지을 때 함께 넣어 먹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소비자들은 검정콩 껍질 속이 푸르면서 알이 굵어 무름성이 좋은 콩을 선호합니다. 재래종인 서리태는 이러한 종실외관을 가지면서도 당도가 높아 일반 콩보다 높은 시장가격을 형성하고 있어 농가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리태는 숙기가 늦고 쓰러짐 및 성숙기 꼬투리 터짐에 매우 약하여 수량성이 낮고 재배가 불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리태는 서리를 맞으며 익어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껍질이 검는색이라 검은콩, 속이 파랗다고 해서 속청이라고도 불리는 콩과식물로 떡을 만들거나 다른 잡곡과 함께 밥을 지어 먹으면 당도가 높아 맛.. 2022. 3. 20. 고수 키우기 재배방법,고수 심는(파종)시기 집에서 고수 키우기,고수 심는(파종)시기,고수 재배방법 고수 재배방법-키우기 고수의 특성 고수는 향신채 (향신채란 허브 대파 마늘등 음식의 맛과 풍미를 더해주는 채소를 말함) 중에서 오래전부터 재배해 온 미나리과에 속한 채소다. 줄기는 30~60cm로 곧게 서고 속이 비어 있으며 가지는 갈라져 있다. 향기가 난다. 잎은 2~3회의 새 날개깃 모양으로 분열하는데 맨 끝 쪽의 잎은 선형(線形)이다. 꽃은 6~7월에 백색 또는 담적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8~9월에 결실한다. 고수를 처음 맛본 이는 빈대 냄새가 난다고 하여, 먹기를 주저하게 된다. 하지만 고수에 한번 맛을 들이면 중독성이 강해 그 맛을 잊지 못한다고 한다. 고수풀은 빈대풀이라고 불리며, 영어로는 코리안더(coriander), 실란트론 이라고도 .. 2022. 3. 20. 농업인 자격조건과 혜택,농업경영체 등록 조건 농업인 자격조건과 혜택,농업경영체 등록 조건 농업인 자격조건과 혜택 농업인이란 농업인이란 농업 등에 종사하는 개인을 말한다.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농업인이다. 1. 1,000 ㎡ (302.5 평) 이상의 농지를 경영(경작)하는 자 2.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자 3. 농업 소득이 년간 120만 원 이상 되는 자 4. 영농조합법인 및 농업회사법인의 조합원인 자 5. 일정 규모 이상의 축산(대가축2두, 중가축10두, 소가축100두) 양봉(꿀벌 10군)을 하는 자 6. 330㎡(100평) 이상의 비닐하우스, 버섯재뱃 등을 설치하여 경작(재배)하는 자 7. 임차인도 가능 이를 증명하는 서류가 농지원부 와 농업경영체등록증 이다. 다만,303평 이상의 농지를 소유하고 '위탁영농'을 통해 농사를.. 2022. 3. 19. 자연산 두릅 채취시기,두릅 효능/맛있게 먹는법 자연산 두릅 채취시기 효능,두릅 맛있게 먹는법/손질법 자연산 두릅 채취시기 자연산 두릅은 산의 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잘 자라고 키는 5m쯤 되며 줄기에 가시가 있다. 보통 우리가 말하는 두릅이 참두릅이고, 한약재로 사용되는 독활의 어린싹을 땅두릅, 엄나무의 어린 순을 개두릅이라고 부를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나물이다. 하지만 각각의 종류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엄나무 순은 향이 강하다. 두릅은 산나물로서 두릅나무의 어린순을 말한다. 겨우내 뿌리에 저장된 영양분이 가지 끝에 새순으로 맺히는 것을 채취해서 먹는다. 일반적으로 두릅이라 하면 나무 끝에 초록색으로 맺히는 참두릅을 말하지만, 두릅나무가 아닌 여러해살이 풀에 맺히는 땅두릅도 있다. 새순은 가을에도 나지만 영양 성분은 봄철 첫 순이 올라올 때.. 2022. 3. 18.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