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텃밭가꾸는방법82

양배추 재배방법,양배추 파종시기/모종 심는 시기 봄 양배추 파종시기/모종 심는 시기,양배추 재배방법 양배추 재배 방법 재배특성 양배추는 원래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고 고온이 되면 병해에 시달리게 되며, 또 저온기에는 생육불량이 이어지면서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양배추는 토양에 대한 적응범위는 극히 넓은데 가장 생육이 좋은 것은 토심이 깊고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 내지 점질양토가 잘 된다. 일반적으로 관수시설을 만들고 유기질을 충분히 시용할 수 있으면 사질땅부터 점질땅까지 잘 생육을 한다. 재배환경 생육온도 : 발아적온 25~25℃ 육묘적온 20~22℃ 개화적온 12℃ 생육적온 15~20℃ 결구적온 15~16℃ 저장적온 0~3℃ 재배적지 : 토양산도는 pH 5.5~6.8 정도가 알맞고, 산성토양에서는 병해 발생 증가 재배작형 과거에는 주로 봄 재배와 가을.. 2022. 2. 19.
딸기 재배 방법,딸기 모종 심는 시기 딸기 모종 심는 시기,노지 딸기 재배 방법,화분에 딸기 재배 방법 딸기 재배 방법 딸기는 다른 원예작물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토양과 환경에서 자랄 수 있으며 비료는 조금만 주어도 된다. 그러나 가뭄에 약해서 물 보유도가 높은 땅에 심거나 밭고랑에 물을 대거나 또는 물뿌리개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재배방법으로는 매년 가을에 새 모종을 심어 1번만 수확하는 1년식 재배와, 1번 모종을 심고 수년간 계속하는 다년식 재배방법이 있다. 1년식 재배는 따뜻한 지방에서 촉성재배 또는 반촉성재배를 할 때 쓰이는 방법으로서 좋은 과실을 생산한다. 추운 지방에서는 묵은 어미포기와 불필요한 포복지(러너, runner)를 솎아내고 3~4년 수확을 계속하는 다년식 재배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 재배방식에서는 2.. 2022. 2. 17.
부추 씨앗 파종(심는)시기 재배방법 부추 씨앗 파종(심는)시기 방법,부추 재배방법 부추 재배방법 부추는 생육기간이 길며 다비성 작물이므로 생육 중 비료가 부족하지 않게 완효성 퇴비를 많이 주어야 한 다. 특히 부추는 4∼5년간 같은 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는 것을 기억해 두어야 한다. 8월이 되면 부추의 꽃이 핀다. 부추는 모든 포기가 일제히 꽃이 피는 것이 아니라 1회 따준 뒤 늦게 나온 포기도 많이 있으므로, 1회 따낸 뒤 7∼10일 간격으로 꽃대를 따준다. 꽃대를 따주지 않고 그 대로 방치해 두면 개화, 결실 때문에 세력을 빼앗겨 세력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가능한 빨리 따주는 것이 좋다. 날씨가 추워지는 11월 상순경부터 지상부의 잎은 말라 시들고 휴면기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에 토 양이 얼기 전 충분하게 관수하여, 근경이 안전하게 월.. 2022. 2. 16.
시금치 파종시기 재배방법 중부지방 봄 시금치 파종시기/심는시기,시금치 재배방법 ​시금치 재배방법 ​시금치는 크게 동양종과 서양종이 있는데, 동양종은 추위에 강해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고 봄에 거둬 먹으며 서양종은 추위에 약해 주로 봄에 심는다. 그래서 서양종은 봄시금치, 동양종은 겨울시금치라고도 한다. 봄시금치는 씨앗이 둥글고 잎이 두껍지만, 겨울시금치는 씨앗에 두개의 뿔이 달렸고 잎이 약간 날렵하다. 요즘에는 두 종자를 교잡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종묘상에 가서 물어보고 필요에 맞춰 선택한다. 시금치는 재배하기도 쉽고, 생육기간도 짧은데다, 봄과 가을에 심을 수 있어 연중 수확이 가능하므로 되도록 많이 심어 필요할 때마다 거둬 먹으면 좋다. 재배환경 시금치는 내한성이 강하고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반면 더위에 약하다. 발아 및 .. 2022. 2. 15.
3월에 파종(심는) 밭작물 채소/텃밭 가꾸기 텃밭 작물 파종시기,텃밭 가꾸기/3월에 파종(심는) 밭작물 채소텃밭 작물 파종시기 채소,텃밭 가꾸기텃밭에 채소를 기르기 위해서는 가족들이 즐겨 먹으면서도 쉽게 기를 수 있는 채소를 고르되 각각의 채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염두에 두고 선택하는 것이 좋다. 처음부터 가꾸기가 까다롭고 병과 벌레가 많은 것을 선택하면 가꾸는 사람의 의욕이 떨어지고 자칫 텃밭농사를 망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초보자는 가꾸기 쉬운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 쉬운 것 : 상추, 시금치, 쑥갓, 배추, 당근, 무, 토란, 고구마, 감자, 완두, 강낭콩 등- 보통인 것 : 토마토, 호박, 고추, 가지 등- 어려운 것 : 오이, 수박, 참외 등 규모와 배치5㎡ 크기 즉 한평 반 크기의 소규모 텃밭에는 상추, 쑥갓, 아욱, 근대 등.. 2022. 2. 15.
완두콩 파종(심는)시기 재배법 남부지방 중부지방 완두콩 파종(심는)시기,완두콩 재배법 완두콩 재배법 완두는 콩과에 딸린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식물이다.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으로 고대부터 재배되었으며 멘델이 실험에 이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완두는 덩굴식물로 줄기는 유연하고 길이가 185cm 정도로 길다. 높이 2m 정도이고 잎은 겹잎이며 잎 끝은 덩굴손으로 되어 지주를 감아 올라가면서 자란다.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 1-2개씩의 접형화가 핀다. 꽃은 백색·적색·자주색 등이며 늦은 봄에 핀다. 꼬투리에는 5-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완두는 콩 중에서도 서늘한 기후를 가장 좋아하고 추위에도 강해 남부 지방에서는 노지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이용 형태는 풋꼬투리, 풋완두, 완숙콩의 세 가지가 있는데 이용 부위에 따라 기능이 각기 다르.. 2022. 2. 14.
반응형